아반떼오우너의 개발블로그 ㅋㅋ

오라클 클라우드 공인IP 설정하기 본문

개발관련

오라클 클라우드 공인IP 설정하기

Avante 2022. 2. 9. 15:49

오라클 클라우드를 실제로 쓰다보면 임시 IP로 할당되어

VM리부팅시 IP가 매번 바뀐다. 그래서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도 이걸 매번 대응할수는 없는 노릇이라

IP를 고정으로 설정해보도록 해본다.

VM인스턴스가 이미 생성되어있다는 가정하에 해당 포스팅을 작성한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있는 Instance Details에 들어오도록 한다.

좌측 하단에 Resources 메뉴가 있는데 이중에 Attached VNICs를 선택한다.

그러면 현재 생성되어있는 Instance가 나타나는데 공인IP를 설정할 인스턴스를 선택한다.

해당 인스턴스 선택후 화면이 전환되면 다시 좌측하단의 Resource메뉴중 IPv4 Addresses를 선택한다.

그리고 우측의 점3개 버튼을 클릭 및 Edit으로 진입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텐데 우선 임시로 할당된 IP를 해제해야한다.

아래와 같은 절차로 우선 진행한다.

1. Public IP Type에서 No public IP를 선택

2. 업데이트 버튼 클릭.

---- 여기까지가 기존에 할당된 IP제거하는 방법.

 

다시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한다.

1. Reserved public IP를 선택.

2. 공용 IP중 원하는 값을 선택. - 없다면 Create New Reserved IP Address를 선택하여 아이피 새로 생성

3. 업데이트 진행.

여기까지 하면 VM인스턴스 화면에서 IPv4 Addresses화면에서 해당 IP가 Reserved로 설정되어있는것을 볼수있고

공인 IP 설정이 완료되었다.

'개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클라우드 방화벽 문제 해결  (1) 2022.02.17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 사용해보기  (0) 2022.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