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lustering
- 음식리뷰앱
- Oracle
- acmicpc
- 1002
- 클러스터링
- quadtree
- IOS
- 섯다족보
- Firebase
- 네이버지도
- NaverMap
- 먹방지도
- 섯다족보앱
- cluster
- 음식지도
- SwiftUI
- Swift
- xcframework
- 백준
- 프로퍼티
- property
- MeTal
- JJGram
- vm
- MVVM
- 먹튜브로드
- 프로퍼티 종류
- StaticLib
- 먹튜브
- Today
- Total
목록개발관련 (3)
아반떼오우너의 개발블로그 ㅋㅋ
오라클 클라우드 VM을 설정하고 여기에 nodeJS 서버를 올린 후 외부에서 해당 주소로 접근하려고 하면 접근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Ping은 가는데 클라이언트단에서 무엇인가에 의해 접근이 거부되는데 이는 오라클 클라우드 내에 설치한 VM의 방화벽에 막힌것으로 추측된다. 해결법은 해당 VM인스턴스에 ssh등을 통해 접근한뒤 아래의 커멘드를 입력하면된다. 3000번 포트의 인풋을 Accept하는 커맨드. sudo iptables -I INPUT 1 -p tcp --dport 3000 -j ACCEPT

오라클 클라우드를 실제로 쓰다보면 임시 IP로 할당되어 VM리부팅시 IP가 매번 바뀐다. 그래서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도 이걸 매번 대응할수는 없는 노릇이라 IP를 고정으로 설정해보도록 해본다. VM인스턴스가 이미 생성되어있다는 가정하에 해당 포스팅을 작성한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있는 Instance Details에 들어오도록 한다. 좌측 하단에 Resources 메뉴가 있는데 이중에 Attached VNICs를 선택한다. 그러면 현재 생성되어있는 Instance가 나타나는데 공인IP를 설정할 인스턴스를 선택한다. 해당 인스턴스 선택후 화면이 전환되면 다시 좌측하단의 Resource메뉴중 IPv4 Addresses를 선택한다. 그리고 우측의 점3개 버튼을 클릭 및 Edit으로 진입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

현재 개인프로젝트로 운영중인 JJGram의 서버는 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를 설치하여 사용중이다. 그런데 문제는 실수로 콘센트를 뽑거나, 전원단자가 접촉불량이 되면 라즈베리파이가 리부팅되는데 이때 서버를 매번 다시 켜줘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어딘가 클라우드에 올라가있는 서버를 사용하고 싶었는데 마침 오라클에서 무료로 리눅스계열 VM을 제공해주는것을 알게되었다. 아래글은 오라클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우분투 VM을 사용한 기록을 남긴 글이다. 1. 오라클 회원가입 https://www.oracle.com/kr/cloud/free/ 이 주소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때 결제할 카드 정보를 물어보는데 이는 추후에 유료옵션(RAM증가, Core증가 등)을 쓸때 결제를 할 카드를 입력하는것같다...